2006년 8월 7일
Seagate Western Digital
160GB 2MB - 58,000원 (363원/GB) 57,000 (356원/GB)
160GB 8MB - 58,000원 (363원/GB) 61,000 (381원/GB)
200GB 8MB - 70,000원 (350원/GB) 70,000 (350원/GB)
250GB 16MB - 90,000원 (360원/GB) 73,000 (292원/GB)
300GB 16MB - 98,000원 (327원/GB) 94,000 (320원/GB)
400GB 8MB - 175,000원 (438원/GB) 179,000 (448원/GB)
500GB 16MB - 303,000원 (606원/GB) 254,000 (508원/GB)
2006년 11월 27일
Seagate Western Digital
160GB 2MB - 55,000원 (344원/GB) 51,000 (360원/GB)
160GB 8MB - 56,000원 (350원/GB) 55,000 (276원/GB)
200GB 8MB - 72,000원 (360원/GB) 72,000 (284원/GB)
250GB 16MB - 71,000원 (284원/GB) 69,000 (365원/GB)
320GB 16MB - 95,000원 (297원/GB) 91,000 (284원/GB)
400GB 8MB - 142,000원 (355원/GB) 146,000 (365원/GB)
500GB 16MB - 227,000원 (454원/GB) 187,000 (374원/GB)
※8월 7일에는 300GB가 있으나 11월 27일에는 320GB가 있습니다.
현재 300GB는 7200.9이며 게다가 320GB보다 더 비싼 가격이라 부득이 대체하였습니다.
2006년 6월 30일부터 11월 27일까지의 1GB 당 가격 동향입니다.

이제는 시게이트 7200.10도 완전히 자리를 잡아서 그 이전 모델 들은 빛을 바랜 모양입니다. 버퍼도 16MB가 표준화가 되었죠. 7200.7 이후 7200.8 / 7200.9에서 별다른 속도의 진전을 보여주지 않던 시게이트가 7200.10에서는 큰 변화가 온 듯 합니다. 수직 기록 방식으로 많은 속도 향상이 있는 듯 하네요. 전통적으로 느리고 발열 많은 대신 조용한 편이라는 시게이트도 수직 기록 방식으로 나아졌습니다. 160GB 플래터의 7200.10이 시장에서도 선전하고 있네요. 특히 플래터 2장을 쓴 320GB가 가장 괜찮은 가격 비율로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250GB도 7200.10 모델이 있고 가격대 성능비는 284원/GB로 좋습니다만, 기왕이면 더 큰 용량을 쓰시기 바랍니다.


'컴퓨터주제 > 하드디스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하드 디스크 용량은? (0) | 2007.02.14 |
---|---|
하드 디스크의 구입과 용량 선택은? 2007년 1월 28일자 (0) | 2007.01.29 |
하드 디스크의 구입과 용량 선택은? 2006년 11월 27일자 (6) | 2006.11.28 |
하드 디스크의 구입과 용량 선택은? 2006년 8월 7일자 (0) | 2006.08.08 |
하드 디스크의 구입과 용량 선택은? 2006년 6월 30일자 (3) | 2006.06.30 |
하드 디스크의 구입과 용량 선택은? 2006년 2월 25일자 (3) | 2006.02.25 |
댓글을 달아 주세요!!
350기가 정도면 아주 무난하겠네요 ^^
근데 350기가 정도 4개를 묶어서 쓰려면 어떠한 방법을 사용하면 좋을까요 ?
이시스의 경우 시게이트와의 마찰이 있었던 모양이고 (아무래도 시게이트가 일종의 배째라 영업을 시도하다가 이시스가 즐친게 아닌가 싶음) 기업용의 경우 그만한 가치가 있으니까..
..라고는 해도 기업용 하드디스크라고 안망가지는 것도 아니긴 하지.. 서버가 많으면 많을수록 뭔놈의 하드 고장 건은 그리 자주 일어나는지 ..~_~;; 암튼 지질휘들이 기업용 모델을 단순히 용량 많다고 사놓고는 왜그리 비싼지 모르겠다고 투덜대는 안습한 상황은 없기를..
NanDo// 묶어서 쓴다는 게 다음 중 어떤 것일까요?
1. 어쨌든 4개를 꼽아서 쓴다.
2. 4개를 레이드로 묶어 하나의 용량으로 쓴다.
1, 2 모두 비슷한데,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별도 컨트롤러를 구입하는 것과 고급형 메인보드로 교체하는 것이죠. 2를 위해서라면 모르겠습니다만, 1이라면 고급형 메인보드로 교체하세요. 보통 S-ATA2가 4~6채널 정도 있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를 4~6개를 꼽을 수 있습니다. IDE 한 채널 있기 떄문에 ODD 꼽는 것도 무리 없겠네요.
ㅂㄹ// 이시스는 몇가지 설이 더 있으나, 여기서 중요한 건 "왜"가 아니라 "그럼?"이므로 깊이 이야기하지 않았지. 디스트리뷰터도 3개나 되었고, 이시스는 다른 카드(여러 제품, 여러 회사)가 많으니까 그리 어렵지 않은 선택이었을 듯 해.
ES 모델은 일반 사용자에겐 당연히 비추지. 비싸지, 별로 좋은 거 없지. ES 모델은 24시간 구동 상황에서 조금 더 보장해준다는 정도니. 개인 사용자는 ES 강력 비추. 하지만 난 사고 싶다는 거 ㅠ.ㅠ
저도 저 320G 모델을 샀지요. 워낙 9세대를 10세대로 속여판다는 소문이 많아서 구입하고 나서 제일 먼저 확인한게 형식 넘버였습니다. 올해안에는 1.5 T 도 나오겠네요.
南無// 올해 1TB를 넘길 듯 하네요. 250GB 플래터를 4장 쓴 모델로요. 왜냐면 저 최대용량 모델은 플래터 4장을 쓰거든요. 1.5TB가 될려면 장당 375GB 짜리로 꽤 집적도가 높아져야 하는군요. 지금의 딱 2배입니다.